저는 7살 때부터 피아노를 배웠고 언제부터였는지는 모르겠지만 악기소리나 초인종 벨소리 등 사람의 목소리를 제외하고 음이 있는 소리는 다 계이름으로 들렸습니다. 노래로 '도미미 미솔솔'이라고 노래를 불러주는 것과 같이 소리가 계이름 자체로 들립니다. 요즘 같이 콘텐츠가 많은 시대가 아니었기 때문에 절대음감이라는 명칭이 있는 줄도 몰랐고 모든 사람이 원래 그런 줄 알고 살았습니다. 실용음악 입시를 공부하면서 모든 사람이 저와 같이 들리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던 것 같습니다. 어떤 사람은 모든 키가 다 '도레미파솔라시도'로 들리는 상대음으로 들리고 둘 다 들리지 않는 사람도 있다는 것을요.
절대음감과 상대음감이란?
절대음감이라고 하면 어감때문에 '절대권력자'와 같이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엄청난 천재같이 들리지만 사실 '절대평가', '상대평가'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명칭입니다.
즉, 절대음감은 '도'를 듣지 않아도, 키가 바뀌어도 고유의 계이름으로 들리고 상대음감은 '도'를 지정해 주면 그 '도'음을 기준으로 음의 거리를 듣는 것입니다. 사실 저는 상대음감이 더 신기합니다.
어떤 음감을 갖은 것이 더 유리할까?
클래식 연주자는 악보만 보고 연주를 하면 되기 때문에 어떤 음감을 갖고 있는지가 연주에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 같지만 현악기, 관악기의 경우에는 절대음감이 있는 것이 조금 더 유리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실용음악과의 경우 악보가 없이 음악을 듣고 옮기는 '카피'를 주로 하기때문에 악기 없이 멜로디를 카피하기에는 절대음으로 듣는 것이 유리합니다. 하지만 코드를 카피하는데 있어서는 상대음을 갖고 있는 것이 더 유리하죠. 저는 코드 구성음을 듣고 코드를 파악하는데 상대음감은 코드의 색과 어떤 키에서 '몇 도' 코드로 들린다고 합니다. 따라서 어느 쪽이 더 유리하다고 할 수는 없을 것 같고 간혹 상대와 절대를 다 갖고 있는 부러운 친구들도 몇 명 보았습니다. 시창청음 시험시간에 저는 코드를 들어보려고 안간힘을 쓰는데 시험지에 멋진 그림까지 그려내면서 만점을 맞는 학생도 있었습니다.
절대음감의 불편한 점은 곡의 키를 바꿀 때 건반에 트렌스포즈 기능을 사용하면 바로 키를 바꿀 수 있는데 들리는 소리와 눈으로 보이는 건반의 소리가 다르니 몇 마디 못 가서 틀려버리게 됩니다. 또 저는 가야금을 배우고 있는데 가야금도 이조악기 중 하나이기 때문에 줄이름과 저에게 들리는 소리가 달라 많이 헷갈리게 됩니다.
장점은 절대음감이 컨텐츠 제작에서는 유리한 것 같습니다. 듣고 바로 따라 치는 콘텐츠가 인기가 많기 때문이죠. 친구들에게 보여주면 인기도 많아질까요?
음악 전공자는 다 절대음감이 있을까?
- 클래식 전공자
저는 어려서부터 클래식 교육을 받은 전공자라면 이조악기(악보와 실제 들리는 음이 다른 악기)를 제외하면 다 절대음감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저의 학생 중 한예종에 다니는 학생에게 물어보니 절대음감을 갖고 있는 학생이 몇 안되고 절대와 상대가 둘 다 없는 학생들도 많다고 합니다. 어려서부터 악기를 한다고 꼭 생기는 건 아닌가 봅니다.
- 실용음악 전공자
실용음악과에서는 카피의 능력이 필수이기때문에 드럼, 미디 전공자를 제외한 악기전공자는 절대나 상대를 가지고 있습니다. 비율로 봤을 때는 상대음감이 훨씬 많고 절대음감을 가진 사람의 수는 한 30% 정도 되지 않을까 추측해 봅니다. 주로 피아노를 많이 다루는 피아노와 작곡전공입니다.
그렇다면 피아노를 어려서 배우면 절대음감이 있을까?
피아노는 음을 맞춰 연주하는게 아니라 딱 음이 정해져 있는 악기이기 때문인지 절대음감을 갖고 있는 사람의 많은 비율이 피아노 전공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피아노를 오래 배웠어도 다 절대음감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피아노만 절대음으로 들리는 사람, 상대음감인 사람 등등 다양한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는 다른 악기는 다 절대음으로 들리고 보컬만 상대음으로 들립니다.
노력하면 음감을 갖는 것이 가능할까?
주변 상대음감을 갖고 있는 친구들에게 들었을때 원래 음감이 없었는데 반복적인 훈련을 통해서 어렵게 상대음감을 가질 수 있었다고 합니다. 절대음감도 갖기 위해서 매일 '도'를 듣고 따라 불렀지만 절대음감이 생기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절대를 갖고 있는 저는 상대로 들으려고 노력하면 들리기도 하는데 곧 혼란이 오게 됩니다. 아마 많은 노력하면 상대도 가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절대음감을 갖고 있다고 천재도 아니고 부러워할 이유도 없답니다!
음악을 공부하는 데 있어 음감을 갖고 있는가 보다는 꾸준히 노력하는 것이 더 중요한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