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악작곡2

첫 국악 작곡으로 "국악한마당" 출연한 이야기 재즈 피아노 전공자인 제가 퓨전국악 작곡을 하게 된 계기부터 첫 공연과 국악한마당 출연까지의 과정을 공유합니다. 저는 실용음악과에서 재즈피아노를 전공했지만 현재는 국악 작편곡 작업을 더 많이 하고 있습니다.제가 시작할 당시에는 레퍼런스 할만한 곡이 거의 없었는데풍류대장이라는 TV프로그램과 이날치, 서도밴드 등이 유명해지면서요즘은 국악이 많이 대중화된 것 같습니다. 피아노 전공인데도 불구하고 피아노를 연주할 일보다는 국악작업을 더 많이 하고 있다고 하면 다들 의아해하고 궁금해하더라고요. 국악 작곡을 시도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퓨전국악 제가 국악을 시작하게 된 과정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막연했던 꿈 ★ 대학에 입학하기도 전, 재즈피아노를 공부하던 시절에 해외에 가서 연주를 하고 싶다는 꿈을 가지고.. 2025. 7. 17.
퓨전국악, 어떻게 작곡할까 – 전통과 전자의 실제 융합 과정 퓨전국악, 어떻게 작곡할까퓨전국악은 말 그대로 전통 국악과 현대 음악이 만나는 지점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국악 악기 위에 전자음악을 덧입히는 작업이 아닙니다. 두 음악은 각각 고유한 역사와 구조, 정서를 가지고 있으며, 작곡가는 이 둘 사이에서 ‘대화’를 설계하는 사람이어야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제가 실제로 퓨전국악을 작곡하면서 거쳐온 과정을 소개하려 합니다. 음악을 시작한 분들뿐 아니라, 퓨전국악의 가능성에 관심이 있는 분들께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국악의 ‘재료’를 먼저 고른다곡을 만들기 전, 저는 먼저 국악적 요소 하나를 중심축으로 삼습니다. 그것은 장단일 수도 있고, 선법(계면조, 우조 등)일 수도 있으며, 또는 특정 악기의 음색(가야금, 해금, 장구 등)일 수도 있습니다.예를 들어 삼채장단을 .. 2025.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