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자음악

요즘 대세- 국악이 들어간 K-POP

by muasis 2025. 11. 25.
반응형

최근 화장품, 음식, 음악, 드라마 등 한류 열풍이 점점 더 강해지는 것 같습니다.

그 중애서도 K-POP은 방탄소년단(BTS), 블랙핑크(BLACKPINK), 스트레이 키즈(Stray Kids) 등 세계적인 아이돌 그룹들의 활약에 힘입어 단순한 음악 장르를 넘어 하나의 거대한 문화 현상이 되었습니다. 이들이 빌보드 차트와 글로벌 음악 플랫폼을 점령하면서, K-POP은 한국의 문화적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글로벌 K-POP, 왜 국악을 선택했나? 🌍🎶

많은 아이돌 음악에 국악의 사운드를 추가한 음악이 늘고 있습니다.  전통 악기의 사운드, 독특한 창법, 그리고 판소리 특유의 리듬감은 서양 음악 문법에 익숙한 글로벌 팬들에게 '새로움'이자 '강렬함'으로 다가서고 있습니다. K-POP 프로듀서들은 힙합, EDM과 같은 현대적인 장르에 한국 전통의 '흥'과 '한'을 담아내며, 독창적인 영역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저는 작곡가/연주자로서 K-POP의 비트 위에 전통적인 소리를 얹어보면서, 이질적일 것이라는 선입견과 달리 오히려 독특한 퓨전의 매력을 발견했으며, 이러한 시도는 한국 음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핵심 동력이 되고 있다고 분석합니다.

 

대표적인 K-POP 국악 퓨전 사례

1. 스트레이 키즈(Stray Kids) - 신선놀음 

  • 주요 국악 요소: 이 곡은 1:10초 가사에서 굿거리장단인 '덩기덕 쿵 더러러'를 두 번 반복하며 태평소와 같은 소리를 사용하였습니다. 

2. 방탄소년단(BTS) - IDOL (2018)

  • 주요 국악 요소: 도입부와 간주에 등장하는 '꽹과리' 소리, 웅장한 사운드 뒤에 깔리는 태평소 음색.
  • 음악적 분석: 곡의 핵심인 '흥'과 축제 분위기를 극대화하며, 아프리카 리듬과 한국 장단이 혼합된 독특한 리듬 구조를 가집니다. 특히 서구적인 EDM 비트와 꽹과리가 충돌하는 지점에서 한국적인 다이내믹함이 폭발적으로 발생하여, 곡의 정체성을 한층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 전략의 성공적인 예시로 평가받습니다.

3. 블랙핑크(BLACKPINK) - How You Like That (2020)

  • 주요 국악 요소: 곡 후반부 댄스 브레이크 구간에 등장하는 '대금'과 '피리' 계열의 전통 관악기 소리.
  • 음악적 분석: 국악기의 구슬프면서도 강렬한 음색은 곡의 후반부에 극적인 분위기를 부여하며, EDM 드롭(Drop) 사운드와 대비됩니다. 이 짧고 강렬한 전통 선율은 곡의 신비로움과 고급스러움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펜타토닉 스케일(5 음계)을 기반으로 한 선율 구조는 동양적인 느낌을 명확히 전달합니다.

4. (G)I-DLE - 화(火花, HWA A, 2021)

  • 주요 국악 요소: 곡 전체를 관통하는 5 음계 기반의 동양적인 선율과 함께 사용된 '해금''피리' 소리.
  • 음악적 분석: 국악의 대표적인 감정인 '한(恨)'을 현대적인 방식으로 재해석합니다. 묵직한 베이스 라인 위에서 해금의 애절한 소리가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곡의 서사를 이끌어갑니다. 곡의 제목처럼 불꽃처럼 타오르는 정서를 해금의 떨리는 음색이 극대화하며 독특한 카타르시스를 제공합니다.
  •  

한국의 아이돌

국악 요소가 K-POP에 가져다준 음악적 효과 

K-POP 프로듀서들이 국악 요소를 활용하는 이유는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음악 자체의 깊이와 글로벌 시장에서의 '음악적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 리듬의 다양성 (장단과 그루브): 4/4박자의 정형화된 팝 비트에 국악의 장단을 추가하여 역동적인 그루브를 만듭니다. 특히 휘모리장단이나 자진모리장단에서 느껴지는 불규칙하면서도 중독적인 리듬 패턴은 서양 음악에서는 찾기 힘든 매력입니다.
  • 독특한 음색 : 서양 악기에서는 들을 수 없는 태평소의 '비음 섞인 떨림'이나 해금의 '애잔함' 같은 국악기 고유의 음색은 곡에 이국적이고 신비로운 분위기를 불어넣으며, 곡의 아이덴티티를 명확히 합니다. 이러한 음색은 사운드 디자인 측면에서도 매우 독창적인 요소로 기능합니다.
  • 감정의 깊이: 강렬한 '흥'과 내포된 '한'이라는 한국 고유의 정서를 음악에 담아내어, 글로벌 팬들에게도 감정적인 깊이를 전달하며 아시아 시장을 넘어선 공감대를 형성합니다.

K-POP의 미래 속의 국악

국악은 이제 K-POP의 문법이 되었으며, 디지털 사운드에 융합되며 새로운 예술적 가치를 창조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도는 K-POP을 일시적인 유행을 넘어 '장르'로 자리매김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앞으로도 K-POP은 더욱 다양한 전통 악기와 리듬을 융합하며, 글로벌 음악 시장에서 한국의 독창적인 음악적 정체성을 확고히 할 것입니다. 나아가 K-POP 뿐 아니라 한국의 전통 악기와 전통음악 또한 세계인들이 즐길 수 있는 독특한 문화로 자리 잡으면 좋겠다는 희망을 품어 봅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https://muasis.tistory.com/entry/%ED%93%A8%EC%A0%84%EA%B5%AD%EC%95%85-%EC%96%B4%EB%96%BB%EA%B2%8C-%EC%9E%91%EA%B3%A1%ED%95%A0%EA%B9%8C-%E2%80%93-%EC%A0%84%ED%86%B5%EA%B3%BC-%EC%A0%84%EC%9E%90%EC%9D%98-%EC%8B%A4%EC%A0%9C-%EC%9C%B5%ED%95%A9-%EA%B3%BC%EC%A0%95

 

퓨전국악, 어떻게 작곡할까 – 전통과 전자의 실제 융합 과정

퓨전국악, 어떻게 작곡할까퓨전국악은 말 그대로 전통 국악과 현대 음악이 만나는 지점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국악 악기 위에 전자음악을 덧입히는 작업이 아닙니다. 두 음악은 각각 고유한 역

muarang.com

https://muasis.tistory.com/entry/%EA%B5%AD%EC%95%85%EA%B3%BC-%EC%A0%84%EC%9E%90%EC%9D%8C%EC%95%85%EC%9D%B4-%EB%A7%8C%EB%82%AC%EC%9D%84-%EB%95%8C-%E2%80%93-%EC%83%88%EB%A1%9C%EC%9A%B4-%EC%9A%B8%EB%A6%BC%EC%9D%84-%ED%96%A5%ED%95%B4

 

국악과 전자음악이 만났을 때 – 새로운 울림을 향해

퓨전국악을 작곡하며저는 대학교 시절부터 국악과 서양음악을 결합한 퓨전국악을 작곡해오고 있습니다. 가야금의 여운 위로 신시사이저 패드를 얹고, 삼채장단에 루프 리듬을 더하면 낯설면서

muarang.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