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0

첫 국악 작곡으로 "국악한마당" 출연한 이야기 재즈 피아노 전공자인 제가 퓨전국악 작곡을 하게 된 계기부터 첫 공연과 국악한마당 출연까지의 과정을 공유합니다. 저는 실용음악과에서 재즈피아노를 전공했지만 현재는 국악 작편곡 작업을 더 많이 하고 있습니다.제가 시작할 당시에는 레퍼런스 할만한 곡이 거의 없었는데풍류대장이라는 TV프로그램과 이날치, 서도밴드 등이 유명해지면서요즘은 국악이 많이 대중화된 것 같습니다. 피아노 전공인데도 불구하고 피아노를 연주할 일보다는 국악작업을 더 많이 하고 있다고 하면 다들 의아해하고 궁금해하더라고요. 국악 작곡을 시도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퓨전국악 제가 국악을 시작하게 된 과정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막연했던 꿈 ★ 대학에 입학하기도 전, 재즈피아노를 공부하던 시절에 해외에 가서 연주를 하고 싶다는 꿈을 가지고.. 2025. 7. 17.
하우스 음악, 팝 속으로 들어오다 하우스 음악은 어떻게 팝 속에 스며들었을까?요즘 팝 음악이 유난히 중독적으로 느껴지셨나요? 그 이면에는 우리가 익숙히 알고 있는 '하우스 음악'이 숨어 있습니다. 1980년대 시카고에서 태어난 하우스는 이제 팝의 DNA 속으로 깊숙이 들어왔습니다.하우스 음악의 시작: 시카고의 지하 클럽에서하우스 음악은 1980년대 초반 미국 시카고에서 태어났습니다. 디스코의 열기가 식어가던 시기, 흑인과 라틴계, LGBTQ+ 커뮤니티가 모여들던 지하 클럽에서 새로운 사운드가 자연스럽게 형성됐습니다.그 중심에는 DJ 프랭키 너클스(Frankie Knuckles) 같은 전설들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반복적인 4/4 킥 드럼과 간결한 베이스라인, 그리고 디스코에서 차용한 소울풀한 보컬을 결합해, 기존과는 다른 ‘몸으로 느끼는 .. 2025. 7. 1.
퓨전국악, 어떻게 작곡할까 – 전통과 전자의 실제 융합 과정 퓨전국악, 어떻게 작곡할까퓨전국악은 말 그대로 전통 국악과 현대 음악이 만나는 지점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국악 악기 위에 전자음악을 덧입히는 작업이 아닙니다. 두 음악은 각각 고유한 역사와 구조, 정서를 가지고 있으며, 작곡가는 이 둘 사이에서 ‘대화’를 설계하는 사람이어야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제가 실제로 퓨전국악을 작곡하면서 거쳐온 과정을 소개하려 합니다. 음악을 시작한 분들뿐 아니라, 퓨전국악의 가능성에 관심이 있는 분들께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국악의 ‘재료’를 먼저 고른다곡을 만들기 전, 저는 먼저 국악적 요소 하나를 중심축으로 삼습니다. 그것은 장단일 수도 있고, 선법(계면조, 우조 등)일 수도 있으며, 또는 특정 악기의 음색(가야금, 해금, 장구 등)일 수도 있습니다.예를 들어 삼채장단을 .. 2025. 6. 30.
국악과 전자음악이 만났을 때 – 새로운 울림을 향해 퓨전국악을 작곡하며저는 대학교 시절부터 국악과 서양음악을 결합한 퓨전국악을 작곡해오고 있습니다. 가야금의 여운 위로 신시사이저 패드를 얹고, 삼채장단에 루프 리듬을 더하면 낯설면서도 새로운 소리가 떠오릅니다. 전통과 현대,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서로 조심스럽게 대화하는 순간이죠.이 작업을 시작한 건 단순한 실험 때문이 아니었습니다. 음악을 하다 보니 ‘이 소리들로 내가 진심을 담아 말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이 생겼고, 그 질문 끝에 제가 선택한 언어가 국악이었습니다.국악은 어떤 음악일까?국악은 오래된 음악일지 몰라도 악기들에는 사람의 숨결과 비슷한 무언가가 담겨 있습니다.처음 해금 소리를 접했을 때, 그 얇고 떨리는 소리에서 설명하기 힘든 감정을 느꼈습니다. 이건 단지 악기 소리가 아니라 누군가의 울음이.. 2025. 6. 29.
선법(Mode) 작곡 시리즈 3편 : 실전응용 선법 작곡 시리즈 3편: 실전 작곡 응용법과 연습 방법앞선 두 편에서 선법의 기원과 각 모드의 특징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선법을 실제 작곡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모드 전환 기법과 장르별 활용법, 그리고 실전적인 연습 방법까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선법 작곡의 시작: 기존 멜로디 변형하기선법 작곡을 가장 쉽게 연습하는 방법은 기존에 익숙한 장조·단조 멜로디를 변형하는 것입니다. 동일한 루트음을 유지하면서 스케일의 구성음만 바꾸어보면 분위기가 어떻게 바뀌는지 체험할 수 있습니다.예시 :C장조 멜로디: C - D - E - G - A (밝고 명확한 느낌)C 도리안 변형: C - D - Eb - G - A (단조 느낌 속에 희망적인 색채)C 리디안 변형: C - D - E - G - F# (몽환.. 2025. 6. 18.
선법(Mode) 작곡 시리즈 2편 모드별 특징과 작곡법 총정리 선법 작곡 시리즈 2편: 7가지 모드별 특징과 작곡법 총정리선법 작곡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각 모드의 특징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7가지 모드가 각각 어떤 분위기를 만들어내는지, 작곡할 때 어떤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실제 음악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아이오니안 (Ionian)아이오니안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모드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장조(Major Scale)와 동일합니다. 밝고 안정적인 느낌을 주며, 대부분의 팝 음악과 가요, 클래식 음악에서 기본적으로 활용됩니다. 아이오니안 모드의 전형적인 코드 진행은 I - IV - V 혹은 I - vi - IV - V가 많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C 아이오니안에서는 C - F - G - C, 또.. 2025. 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