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7 보컬의 이해1 호흡과 발성, 조음 저는 피아노 전공이지만 학업 이후로는 주로 작편곡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가이드를 만들 때 보컬이 필요하다 보니 직접 가이드를 하고 싶어서 보컬을 배우기 시작한 지 두 달 차가 되어가네요. 성대가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악기와는 다른 면으로 참 어렵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그래서 스스로 공부하고 정리하는 차원에서 호흡과 발성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 김형근 님의 Vocal Technique를 참고 하였음을 명시합니다. 호흡우리가 말하고 노래하기 위해서는 호흡이 반듯이 필요한데 항상 당연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잘 의식하지 못하지요. 호흡은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과정의 반복인데 여기서 호기(날숨)가 소리를 내는데 꼭 필요한 작용이며 목소리를 만들어 내는 동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내보내는 숨의 압력이나 .. 2025. 2. 19. 해금의 재료와 종류 제가 국악작곡을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접했던 악기가 해금이었습니다. 다른 악기에 비해 음의 제약이 적어 경험이 적은 국악 작곡가들이 시도해 볼 만한 악기입니다. 하지만 해금의 특징을 잘 알고 작곡해야 해금 특유의 맛을 잘 살릴 수 있습니다. 해금의 재료해금은 대나무뿌리로 만든 공명통에 입죽을 세운 다음, 명주실을 감은 두 개의 주아를 입죽에 고정하고 말총 활을 두 현 사이에 끼운 구조입니다. 다른 국악기에 비해 다양하 재료를 사용하는데 금, 석(돌), 사, 죽, 토, 혁, 목 여덟 가지입니다. 해금의 고유 특성활로 현을 마찰하여 소리를 내는 찰현 악기로 공명통과 주아에 세로로 매달려있는 현을 누르고 풀면서 왼손의 악력을 이용하여 연주합니다. 현악기 중에서 현의 수가 가장 적지만 다양한 활 쓰기를 통해.. 2025. 2. 17. 재즈피아노 독학 가능할까?(전공자의 의견) "재즈피아노 독학할 수 있을까요?" 재즈피아노 전공이라고 하면 제일 많이 듣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 재즈피아노라고 하면 뭔가 고급스럽게 느껴져서 많은 분들이 재즈 피아노에 로망이 있이 있으신 것 같습니다. "동시에 재즈피아노는 어렵다"라는 생각도 가지고 계시죠.주관적인 제 의견을 말씀드리자면 이 질문에 대해 딱 "네" 또는 "아니오"로 대답하기는 어렵습니다만, 음감이 아주 뛰어난 경우가 아닌 일반적인 수준 기준으로 말씀드린다면 "어렵다"에 가깝습니다.각자가 원하는 재즈피아노의 수준과 음감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다음 사항들을 체크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배우고 싶은 재즈피아노의 기준한국에서 재즈피아노를 전공했다면 클래식을 재외한 모든 장르를 다루어 봤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부분의 재즈 피아니스트.. 2025. 2. 16. 아쟁의 종류와 연주법 아쟁은 국악 현악기 중 가장 큰 사이즈이며 서양음악에 첼로에 해당하는 매력적인 음역을 가지고 있습니다. 등장한 시기에 따라 아쟁, 산조아쟁, 개량아쟁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크기에 따라 대아쟁과 소아쟁으로 구분하기도 하며, 장르에 따라 정악아쟁, 산조아쟁, 창작아쟁 등으로 여러 명칭을 사용합니다. 대아쟁대아쟁은 정악에서 사용하는 7현과 9현의 정악아쟁이 있고, 국악 관현악이나 창작음악에서 사용하는 10현과 12현의 대아쟁이 있습니다.- 정악아쟁7현 정악아쟁은 고려사, 악지에 있는 아쟁을 말하는데 조선시대를 거쳐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으며 당악과 향악에서 조율을 다르게 합니다.9현 정악아쟁은 1965년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의 창단과 합께 등장하였습니다. 당시 국악관현악에 저음부를 담당할 악기가 필요하여 악기 .. 2025. 2. 14. 대금의 주법 알아보기 지난 포스팅에서는 대금의 구조와 음역대 등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이번 포스팅부터는 대금의 매력을 만들어주는 주법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농음이란?전통 현악기에서는 농현이라고 불리고 대금에서는 농음이라고 일컫는 이 주법은 서양의 비브라토와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팔을 사용하여 취구를 넓혔다가 좁히는 동작을 통해 음의 높이를 위아래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연주합니다. 음고를 변화시키는 정도에 따라 굵은 농음과 가는 농음, 속도를 변화시키는 정도에 따라 빠른 농음과 느린 농음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정악의 농음 정악의 농음은 민속악의 농음과는 달리 절제된 느낌이 있습니다. 곡에 따라 농음이 다르게 연주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면 제례악을 비롯한 당피리 중심의 악곡에서는 농음을 매우 절제하지만, 풍류음악에서는 적.. 2025. 2. 12. 대금의 종류 재질 구조 및 자세 대금의 재질대금은 대나무 중 일종의 돌연변이로 생기는 쌍죽골로 제작하는 것이 제일 적합합니다. 쌍죽골은 골이 거의 없거나 한쪽에만 있는 보통의 대나무와는 양쪽에 골이 파인 대나무로 쉽게 구할 수 없는 재료입니다. 여러 해 묵은 황죽으로 만들기도 하지만 쌍죽골이 대나무 살의 밀도가 높아 야무진 소리를 내기 위한 가장 좋습니다.대금의 구조대금은 입김을 불어 넣는 '취구', 손가락으로 막아 음정을 내는 여섯 개의 구멍 '지공', 갈대 속껍질(청)을 붙여 독특한 울림을 만드는 '청공', 모든 지공을 막아 연주하는 최저음(전폐음)의 음고를 결정하고 음간의 균형을 맞추는 1-2개의 '칭성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대금의 종류와 음역 대금은 정악대금, 산조대금, 계량대금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1. 정악대금정악대금은 .. 2025. 2. 11.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