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7 재즈의 스윙감과 연습방법 재즈의 중요한 요소중 하나는 임프로비제이션이며 다른 하나는 스윙감입니다. 사람마다 각자의 말투가 있듯 아티스트마다 스윙감도 다릅니다. 아무리 즉흥연주 라인을 잘 만들어도 스윙감이 없으면 재미없게 들릴 수 있습니다. 그럼 스윙감은 무엇일까요?스윙이란스윙을 한다는 것은 구성원들이 일정한 템포를 유지하고 호흡을 맞춘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스윙하고 있는'음악은 그 연주를 통해 '리듬있는 곡조'를 전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groove'라고 불리기도 합니다.얘를 들어, 어떤 음악을 듣고 춤을 추고 싶거나 박수치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면 그 음악은 스윙감(swing feel)이라고 부르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이 효과는 재즈 뿐 아니라 모든 음악을 통해서 만들어 질 수 있는데 폴카, 왈.. 2025. 3. 29. 재즈의 즉흥연주(IMPROVISATION) 수많은 음악이 재즈라고 불리기 때문에 재즈를 정의하는 부분에서 무 자르듯 딱 재즈가 '맞다', '아니다'라고 정의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동일한 연주도 감상자에 따라 다른 관점에서 재즈인지 아닌지를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들은 재즈 느낌이 나는 코드만 들어가도 재즈라고 생각하고, 어떤 사람들은 스윙 그루브가 있는지에 따라, 어떤 사람들은 재즈계의 유명한 명성을 지닌 연주인이 만든 음악을 재즈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어떤 이들은 1920년대와 관련된 모든 대중음악을 재즈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렇게 재즈를 정의하기에 여러 문제들이 있음에도 꼭 빠질 수 없는 공통적인 두 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바로 즉흥연주(IMPROVISATION)와, 스윙감입니다. 오늘은 먼저 즉흥연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2025. 3. 28. 재즈피아노를 전공하기까지 part2 시작한 계기고1쯤까지는 클래식 피아노를 배웠는데 사실 전공할 상각은 없지만 또 쭉 배운 것을 그만두자니 아까운 상황에서 피아노 선생님께서 재즈피아노를 해보는 게 어떠냐고 제안해 주셨습니다. 건너 건너 아는 지인분이 재즈피아니스트이시고 출강도 하고 계시다고 해서 상담을 받으러 갔는데 몇 가지를 시켜보시고는 재능이 있다고 하시더군요. 얼떨결에 재즈피아노가 뭔지도 모르면서 시작하게 되었어요. 첫 입시레슨기초 코드를 먼저 배웠고 초견(즉흥연주)도 해야하긴 하지만 입시곡만 잘 쳐도 된다고 하시며 입시곡을 정했고주 2회 레슨을 받게 되었습니다.주 2회씩 레슨 시간 동안 입시곡을 8마디 정도씩 카피해 주셨고 이후에는 재즈 솔로를 8마디 만들어서 12 key로 연습해 오라고 하셨습니다. 레슨이 짧을 때도 있고 알차게 .. 2025. 3. 25. 재즈피아노를 전공하기까지 part1 저는 실용음악과 재즈피아노를 전공했고 고1까지는 클래식을 배웠습니다.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한 초반에는 학원을 다녔고 중반부터는 개인레슨을 받았는데 그 과정을 적어보겠습니다. 피아노 입문7살 때 옆집 친구가 피아노 학원을 다니는 것을 보고 같이 다니고 싶어서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습니다. 엄마가 피아노는 기본 정도는 치기를 바라시기도 했기 때문에 바로 보내주셨습니다. 피아노가 있으면 매일매일 치겠다고 하니 피아노를 사주셨는데 막상 집에 있으니 레슨 받기 전날이나 겨우 연습했던 철없는 저였어요.첫 번째 피아노 학원 그 당시는 거의 공장형 학원이었습니다. 선생님들이 10분 정도씩 연습실을 돌아다니며 레슨 하셨고 아마 원장님을 제외하고는 전공자도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첫날 바이엘의 "도레도레"를 배웠던 기억.. 2025. 3. 22. 음악전공자는 다 절대음감이 있을까? 저는 7살 때부터 피아노를 배웠고 언제부터였는지는 모르겠지만 악기소리나 초인종 벨소리 등 사람의 목소리를 제외하고 음이 있는 소리는 다 계이름으로 들렸습니다. 노래로 '도미미 미솔솔'이라고 노래를 불러주는 것과 같이 소리가 계이름 자체로 들립니다. 요즘 같이 콘텐츠가 많은 시대가 아니었기 때문에 절대음감이라는 명칭이 있는 줄도 몰랐고 모든 사람이 원래 그런 줄 알고 살았습니다. 실용음악 입시를 공부하면서 모든 사람이 저와 같이 들리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던 것 같습니다. 어떤 사람은 모든 키가 다 '도레미파솔라시도'로 들리는 상대음으로 들리고 둘 다 들리지 않는 사람도 있다는 것을요. 절대음감과 상대음감이란?절대음감이라고 하면 어감때문에 '절대권력자'와 같이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엄청난 천재같이.. 2025. 3. 21. 피아노 악보 빨리 보는 법 어렸을 때 피아노를 배우면 악보를 다 잘 볼까요?저는 7살부터 피아노를 배웠고 선생님들께 악보를 빨리 읽는다는 말씀을 들었다고 하는데 저는 어려서 피아노를 배우면 누구나 악보를 잘 읽는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레슨을 하다 보니 피아노를 오래 배우고도 악보를 보는 것을 매우 어려워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특히 성인이 되어 피아노를 배우는 경우 악보를 읽는 법을 익히는 것이 큰 난관입니다. 악보를 잘 못보는 학생들의 경우에는 듣고 외워서 좋아하는 곡만 치는 경우가 많아 오래 피아노를 배워도 잘 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외우는 것이 편하기 때문에 악보를 보지 않으려고 합니다. 성인들의 경우에는 악보를 빨리 읽고 싶지만 양손을 한눈에 보는 것이 매우 오래 걸립니다. 그래서 피아노 잘.. 2025. 3. 19.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