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7

전공자의 중고피아노 고르는 법, 주의할 점 저는 7살부터 피아노를 쳤고 첫 피아노는 영창 수출형 피아노였어요. 그런데 선생님이 "쇳소리가 난다"고 하셔서 10살때 삼익 콘솔형 피아노로 바꾸게 되었습니다. 그때는 어려서 어떤게 좋은 피아노인지 잘 몰랐고 선생님이 추천해주신 피아노 매장 사장님이 골라주시는 피아노로 구매했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흘러 피아노를 전공하게되고, 귀도 예민해지면서 삼익 피아노의 쩅쨍거리는 소리가 점점 거슬리기 시작했어요. 그래서 제 마음에 드는 피아노를 찾아 삼만리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조율사님께서 2000년대에 제작된 피아노들은 대부분 동남아에서 OEM제작된 제품이고 고가의 피아노가 아니면 목재 퀄리티가 아쉬운 경우가 많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90년대 후반에 제작된 중고피아노를 고르기로 했습니다. 제가 중요하게 생각.. 2025. 2. 8.
12현 산조가야금의 특징 저는 실용음악과 피아노 전공이지만 국악 작곡 작업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다른 악기들은 악보와 음원을 보면서 음역대나 주법 등을 공부할 수 있었지만 12현 가야금은 배우지 않고 곡 쓰기가 저로써는 엄두를 못 내겠더군요. 25현 가야금은 피아노와 같은 방식의 악보를 사용하지만 12현 가야금 악보는 이동도법(악보와 실음이 같지 않음)을 사용하고 12현 안에서 눌러서 내는 주법이 많아 이해하기가 연주해보지 않고는 작곡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러다가 우연한 기회에 가야금 선생님을 알게 되어 가야금 공부를 시작했고 현재 약 1년 정도가 되어 성금연류 짧은 산조와 황병기 선생님의 침향무를 배우고 있습니다. 연주를 목표로 하기보다 작곡을 위해 곡을 연주해보는 정도로 진도를 빨리 나갔습니다. 1년여 정도 되니 이제 겨우.. 2025. 2. 8.
초보자를 위한 전자드럼(선택법,연습팁,활용법) 저는 피아노 전공이지만  정확한 리듬감을 갖고 싶기도 하고 악보나 MR을 제작할 때 드럼을 좀 더 디테일하게 만들고 싶어서 드럼을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을 예전부터 갖고 있었습니다. 그걸 알고 있던 남편이 전자드럼을 사주겠다고 여러 가지 모델을 알아보더라고요. 저는 그냥 입문용 모델을 사도 충분할 것 같다고 생각했고, 전자드럼 판매자분도 보통 사두고 조금 치다가 사용하지 않는다고 저렴한 모델을 권해주셨지만 남편은 타격감이나 이후에 심벌 등을 추가할 수 있는 모델이 좋다고 해서  더 상위급 매쉬모델로 선택했습니다. 근데 거의 5년을 안치다가 이제 시작한 건 비밀입니다..초보자를 위한 전자드럼 선택법전자드럼을 처음 구입할 때 중요하게 고려한 부분은 가격대겠죠? 그리고 그 다음으로 고려한 것은 패드의 타격감입.. 2025. 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