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금의 주법 알아보기

by muasis 2025. 2. 12.
반응형

지난 포스팅에서는 대금의 구조와 음역대 등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번 포스팅부터는 대금의 매력을 만들어주는 주법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

농음이란?

전통 현악기에서는 농현이라고 불리고  대금에서는 농음이라고 일컫는 이 주법은 서양의 비브라토와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팔을 사용하여 취구를 넓혔다가 좁히는 동작을 통해 음의 높이를 위아래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연주합니다. 음고를 변화시키는 정도에 따라 굵은 농음과 가는 농음, 속도를 변화시키는 정도에 따라 빠른 농음과 느린 농음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정악의 농음 

정악의 농음은 민속악의 농음과는 달리 절제된 느낌이 있습니다. 곡에 따라 농음이 다르게 연주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면 제례악을 비롯한 당피리 중심의 악곡에서는 농음을 매우 절제하지만, 풍류음악에서는 적극적인 농음을 연주합니다. 성악곡을 반주할 경우에는 창작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농음을 구사합니다. 

  정악 기악곡에서는 농음을 세세히 기보 하지 않는 것이 보통인데 그 이유는

1. 일일이 농음을 그리지 않아도 악곡에 따라 연주가들이 공유하는 농음의 규칙이 있고

2. 풍류음악과 같은 일부 악곡에서는 연주가에 따라 농음에 대한 해석이 나뉠 수 있고 자유로운 해석을 존중하기 때문입니다.

정악곡의 연주에서는 전통의 표현방식과 연주자들의 자유로운 해석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민속악의 농음 

산조대금을 사용하는 민속악의 농음은 장악에 비하면 표현의 폭이 넓습니다. 음고의 변화가 크며 빈도수도 다양합니다. 정악은 악보에 농음을 세세히 기보 하지 않는 것과 달리 민속 기악곡인 산조의 악보는 농음기호를 일일이 기보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산조가 특정 명인에 의해 만들어졌고 그 연주 스타일을 정확히 악보로 옮기기 위함입니다. 

 

퇴성과 추성 

 퇴성은 농음 연주법 중 취구를 좁혀 음의 높이를 떨어트리는 소리이며 추성은 취구를 넓혀 음을 높이는 소리입니다. 퇴성과 추성을 연이어 연주하면 농음이 되는 것이지요.

  퇴성과 추성 연주법에는 운지를 바꾸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하는 방식과 운지까지 변화를 주는 방식이 있습니다. 취구만을 활용한 퇴성 추성은 취구의 크기에 따라 음고의 변화 폭이 결정되며, 보통 취법에서 정악대금은 단2도 위아래까지, 산조대금은 장 2도 위아래까지 가능합니다.  취구를 최대한 넓히거나 좁혀 퇴성, 추성을 할 경우 정악대금은 장 2도 산조대금은 장 3도 정도까지 음고 변화가 가능합니다.

취구와 지공을 함께 활용하면 더 넓은 음의 음폭의 변화까지도 가능합니다.  

 

꺽는음

꺾는음은 연주와 동시에 단2도 아래로 빠르게 하행하는 주법을 말하는데 민속악의 판소리, 산조와 같은 음악에서의 중요한 기법 중 하나로 전통적 주법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창작곡에서는 정악대금으로 꺽는 음을 연주하기도 합니다. 

퇴성, 추성, 꺽는음은 다양하게 변형된 형태로 표현될 수 있는데 각 주법은 속도와 음고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퇴성 후 다시 추성을 하거나 그 반대도 가능하며 농음과 퇴, 추성을 동시에 연주할 수도 있습니다. 꺾는음의 경우 연달아 두 번 이상을 꺾거나 퇴성이나 추성과 연결하여 연주할 수도 있습니다. 

혀 치기

창작곡 연주에서는 싱글 텅잉, 더블 텅잉, 트리플 텅잉, 플러터 텅잉 등 다양한  혀 치기를 사용하지만 전통음악 연주에서는 싱글텅잉의 혀 치기만을 사용합니다. 서양 관악기 주법에서 텅잉에 대한 연주가들의 해석이 서로 다를 수 있듯이 전통음악의 혀 치기도 연주가에 따라 위치와 방법에 대한 견해가 다양합니다. 악곡의 흐름에 따라 투, 두, 루 등의 발음을 활용하여 연주되는데 정간보에서는 혀를 의미하는 'ㅎ'로 표기합니다. 

정간보의 악상기호 

정간보 기보법에서 율명을 제외한 모든 기호를 악상기호로 통칭하는데 장식음 표기를 위한 기호, 율명을 간략하게 표기한 약음기호, 빠르기와 강세, 주법에 관련된 악상 기호 등이 있습니다. 다음 사진을 참고해 주세요!

대금의 악상기호

 현대적 연주법과 기보법 

창작곡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Bb관 대금을 기준으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보조키가 있는 개량악기나 관의 길이가 짧아진 산조악기나 이조악기의 운지와 배음은 이 내용가 차이가 있습니다. 

1. 텅잉(tonguing)

창작곡에서 사용되는 대금의 텅잉은 플루트의 텅잉과 유사합니다. 싱글텅잉, 더블텅잉, 트리플텅잉, 플러터텅잉이 가능하고 그 밖에도 텅잉 주법을 조합, 응용한 다양한 텅잉이 가능합니다. 

i. 싱글텅잉

가장 기본적인 주법으로 명확한 발음 표현이 가능합니다. 각음표를 통일한 혀 움직임으로 하나씩 연주하는 방법으로 'tu'발음을 기본으로 하며, 공기를 차단하는 정도에 차이를 두어 'du', 'ru'등의 발음으로 음악적 표현에 변화를 줍니다. 

ii) 더블텅잉

더블텅잉은 싱글 텅잉 뒤에 'ku'음을 붙여 'tuku-tuku'로 발음합니다. 한 가지 방식의 혀 움직임인 싱글텅잉에 비하여 혀 뒷부분으로 목구멍을 막는 동작을 추가함으로써 혀의 긴장도가 낮아지고 빠른 움직임이 가능합니다. 빠른 멜로디를 연주하기에 적합하지만 'ku'발음이 쉽게 약해져 음색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tu'와 'ku'발 음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iii) 트리플텅잉

트리플 텅잉은 'tu'와 'ku'발음을 조합해 'tkt', 'tkk', 'ttk'등으로 연주하는 방식입니다. 

iv) 플러터 텅잉

플러터텅잉은 혀, 또는 목젖을 사용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혀를 사용할 경우에는 혀끝을 입천장에 살짝 대고 공기를 내보내며 혀를 굴리는 방식으로 연주합니다. 'hudrrr'와 같이 'hu'발음과 동시에 윗 이의 뿌리 쪽으로 혀끝을 향하게 하고, 약한 'd'발음을 

짧게 거쳐 바로 'r'발음으로 옮겨 갑니다. 혀의 가장자리는 살짝 말려 올라가는 U모양을 만들어주며, 대금의 플러터 텅잉은 저음역일수록 볼륨이 작아지고 연주가 까다로워집니다. 이런 경우에는 혀끝의 위치를 치아 쪽에서 입천장 쪽으로 즉, 'd'발음에서 'r' 발음으로 미세하게 옮기며 소리 나는 위치를 찾는 것이 좋습니다. 

 목젖을 사용한 플러터텅잉은 후두의 깊은 위치에서 생성됩니다. 고양이가 그르릉 거리듯이 목 뒷부분이 닫히지 않게 유의하면서 입안을 넓힌 상태에서 입김을 목 뒤에서부터 뱉습니다. 혀를 사용하는 것보다 저음역대에서 편안하고 깨끗한 소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대금의 글리산도 주법

글리산도 연주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시작음에서 도달음 사이를 빠르게 운지하는 주법으로 대부분의 반규법과 교차운지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12 반음 다 연주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합니다. 둘째는 전통주법 중 퇴, 추성을 구사하는 취구를 조절하면서 지공을 미끄러지듯이 막거나 열어줌으로 소리를 끊지 않고 부드럽게 밀어 올리거나 내리는 방법입니다. 이 경우 시작음과 도달음이 음역 안에 있을 때 효과적으로 연주됩니다. 

  조음역, 중음역, 고음역의 각 음역 안에서 이루어지는 글리산도는 문제가 없이 연주되나 음역사이를 넘나들며 글리산도를 하면 현악기처럼 소리를 부드럽게 이어갈 수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창작을 위한 국악기의 이해와 활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