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즈피아노18 아쟁의 구조와 종류 — 국악작곡 경험으로 정리한 악기 가이드 아쟁의 구조와 종류 제가 국악작곡 공부를 시작하면서 아쟁은 항상 저를 설레게 하는 악기 중 하나였습니다. 서양음악의 첼로처럼 풍부한 저음을 담당하면서도 국악 특유의 색깔을 살릴 수 있는 점이 가장 큰 매력이었습니다. 처음 아쟁을 활용해 작곡했을 때, 예상보다 연주 난이도에 대한 고려가 많이 필요하다는 것도 깨닫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제가 공부하고 작업하면서 정리해 본 아쟁의 구조와 종류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아쟁의 기본 분류아쟁은 등장한 시기에 따라 아쟁, 산조아쟁, 개량아쟁으로 분류되고 크기에 따라 대아쟁과 소아쟁으로도 구분됩니다. 작곡을 하다 보면 장르에 따라 정악아쟁, 산조아쟁, 창작아쟁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부르기도 합니다.대아쟁대아쟁은 정악과 국악관현악, 창작음악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2025. 2. 14. 대금의 주법 알아보기 대금의 주법 — 작곡가 시각으로 정리하는 농음·퇴성·글리산도이전 글에서는 대금의 구조와 음역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이번에는 실제 작곡 작업에서 대금의 매력을 만들어주는 주법들, 특히 농음과 퇴성, 글리산도 등을 중심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저 역시 작곡 작업을 하며 이 주법들이 만들어내는 미묘한 표현력 때문에 대금을 쓸 때마다 공부하게 됩니다.농음이란? — 대금의 ‘호흡을 담은 떨림’서양 음악에서는 비브라토에 해당하는 주법으로, 국악에서는 대금은 농음, 현악기는 농현으로 부릅니다. 이 농음이 대금 소리를 훨씬 더 입체적이고 살아 숨 쉬게 만들어줍니다. 취구를 넓혔다 좁혔다 하며 음 높이를 미세하게 올리고 내리는 동작으로 연주합니다.농음은 그 폭에 따라 굵은 농음, 가는 농음으로 나뉘고, 속도에 따라 빠른 .. 2025. 2. 12. 대금의 종류 재질 구조 및 자세 대금의 구조와 종류 — 작곡 작업에서 느낀 악기 이해국악작곡을 배우면서 대금은 저에게 늘 흥미로운 악기 중 하나였습니다. 국악기들 중에서도 유난히 음색의 변화 폭이 넓고, 같은 악기인데도 연주자에 따라 느낌이 정말 많이 달라지는 악기라는 걸 작업할수록 실감하게 됩니다. 오늘은 제가 작곡하면서 정리해본 대금의 구조와 종류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대금의 재질 — 소리가 결정되는 출발점대금은 대나무로 만들어지는데, 특히 '쌍죽골'이라는 특수한 대나무가 가장 좋은 재료로 꼽힙니다. 저도 처음에는 그냥 아무 대나무로 만드는 줄 알았는데, 소리의 밀도와 안정감을 위해선 이 쌍죽골의 밀집된 조직이 중요하다는 걸 제작자분께 듣고 알게 됐습니다. 물론 구하기 쉽지 않아 제작자 입장에서도 수급이 항상 고민이라고 하시더라.. 2025. 2. 11. 전공자의 중고피아노 고르는 법, 주의할 점 중고 피아노 구매기 — 피아노 전공자의 실전 삼만리저는 7살부터 피아노를 배웠습니다. 첫 피아노는 영창 수출형 모델이었는데, 선생님께서 "쇳소리가 난다"며 10살 때 삼익 콘솔형 피아노로 교체하게 되었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좋은 피아노가 무엇인지 잘 몰랐고, 선생님이 추천해 주신 매장 사장님의 선택을 그대로 믿었죠.그런데 시간이 흘러 피아노를 전공하게 되면서 귀가 점점 예민해졌습니다. 삼익 피아노 특유의 쩅쨍한 소리가 거슬리기 시작했고, 결국 제 마음에 드는 피아노를 찾아 '삼만리'를 떠나게 되었습니다.중고 피아노 구매를 결심하다조율사님께서 알려주시길, 2000년대 이후 생산된 많은 피아노들이 동남아 OEM 제작으로 목재 품질이 아쉬운 경우가 많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저는 90년대 후반에 제작된 중고 .. 2025. 2. 8. 12현 가야금 — 작곡가가 배워본 실전 악기 이해 12현 가야금 — 작곡가가 배워본 실전 악기 이해저는 실용음악과 피아노 전공이지만 국악 작곡 작업을 많이 하면서 다양한 국악기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대부분의 악기는 악보와 음원을 참고하며 음역대와 주법을 익힐 수 있었지만, 12현 가야금은 예외였습니다. 피아노처럼 직관적인 음계가 아니고, 이동도법이라는 기보 방식도 처음에는 적응이 쉽지 않았거든요.그러다 직접 가야금 선생님께 배우기 시작했고 어느덧 1년 정도가 되었습니다. 현재는 성금연류 산조와 황병기 선생님의 침향무를 배우며 작곡을 위해 연습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동안 배우면서 느낀 12현 가야금의 특징과 작곡자로서 얻은 인사이트를 정리해보려 합니다.가야금의 종류1. 풍류가야금 — 가야금의 원형오동나무를 파내어 만든 풍류가야금은 울림통이 크고 .. 2025. 2. 8. 초보자를 위한 전자드럼(선택법,연습팁,활용법) 피아노 전공자의 드럼 도전기 — 전자드럼 입문과 연습법저는 실용음악과 피아노 전공이지만, 리듬감 향상과 작업용 MR 제작 시 드럼을 좀 더 디테일하게 다루고 싶다는 생각을 오래전부터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걸 알고 있던 남편이 전자드럼을 선물해주겠다며 다양한 모델을 알아보기 시작했죠.처음엔 입문용 저가 모델로도 충분할 거라고 생각했지만, 남편은 타격감과 이후 확장성을 고려해 매쉬 패드의 상위 모델을 추천했습니다. 덕분에 꽤 괜찮은 모델을 들였지만… 거의 5년을 안 치다가 최근에야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건 비밀입니다 ^^;)전자드럼 구입 시 고려할 점패드 종류: 고무 패드와 매쉬 패드가 있습니다. 매쉬 패드는 타격 위치와 강도를 더 정밀하게 인식해주어 실제 드럼에 가까운 타격감을 제공합니다. 반.. 2025. 1. 22. 이전 1 2 3 다음